
1️⃣ image 빌드하기 - m1칩인 경우 --platform linux/amd64 옵션 추가 docker build . -t [이미지명:태그] docker build . -t docker-build-example:0.1 2️⃣ image 확인하기 docker images -a 3️⃣ docker hub에서 repository 생성 - 이미지명과 동일한 repository를 생성해준다. 4️⃣ repository 에 푸쉬하기 1) repository에 올릴 수 있는 이름의 이미지 생성 docker tag [이미지명:태그] [레파지토리명:태그] docker tag docker-build-example:0.1 ijcheon/docker-build-examp le:0.1 2) repositor에 push d..

1. 익명볼륨 (Anonymous Volume)- 도커 시스템에 의해 관리됨- --rm으로 시작 된 컨테이너가 중지 될 때 제거된다.- 컨테이너간에 공유 할 수 없다- 컨테이너에 이미 존재하는 특정 데이터를 잠그는데 유용 -> 데이터가 다른 모듈에 의해 덮어쓰여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용- 외부 경로보다 컨테이너 내부 경로의 우선순위를 높이는데 사용된다.-v /app/data2. 명명된 볼륨 (Named Volume)- 컨테이너를 종료하고 삭제해도 유지된다.- 다수의 다양한 컨테이너에서 동일하게 명명된 볼륨 하나를 마운트 할 수 있다 -> 컨테이너간 데이터 공유가 가능하다docker volume create my_volumedocker run -d -v my_volume:/app/data my_image ..

1️⃣ MongDB 서비스 도커화 하기 - mongodb는 공식 이미지가 있기 때문에 공식이미지를 사용 https://hub.docker.com/_/mongo mongo - Official Image | Docker Hub Quick reference Supported tags and respective Dockerfile links Note: the description for this image is longer than the Hub length limit of 25000, so the "Supported tags" list has been trimmed to compensate. See also docker/hub-feedback#238 and docker/roadm hub.docker.com d..

1️⃣ docker container-> www - 별도의 설정 없이 연결 가능 2️⃣ docker container -> host - localhost를 host.docker.internal 로 변경하면, dokcer 컨테이너 내부에서 알 수 있는 호스트머신의 IP 주소로 변환된다. 3️⃣ docker container -> docker container 1) 컨테이너의 ip를 확인하여 사용하기(수동) - 컨테이너 1 : springboot 컨테이너, 컨테이너2 : mysql 컨테이너가 있다고 가정하는 경우, springboot에서 mysql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mysql 컨테이너의 ip 주소를 확인해야한다. - 아래의 명령어를 사용하면 컨테이너의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는데 docker containe..

A라는 이미지를 가지고 컨테이너를 실행 한 후 어떤 작업을 했을 때 현재 컨테이너 상태 그대로 다른 사람에게 공유를 하거나, run 시킬 때 빠진 포트를 지정하거나 할 수 있다. commit 이라는 명령어를 사용하면 되는데, 사용법은 아래와 같다. docker commit [컨테이너id/이름] [이미지명:태그] 예) 나는 sad_johnson이라는 컨테이너를 linux-kafka라는 이미지로 커밋하려고 한다. commit한 이미지를 컨테이너로 실행시켜 보면, 이전 컨테이너에서 작업 한 내용을 확인 해 볼 수 있다.

1. 네트워크 생성하기 #bridge로 custom-network 라는 이름을 가진 네트워크 생성 docker network create --driver=bridge custom-network #네트워크 확인 docker network ls 2. 생성한 네트워크와 컨테이너 연결 -컨테이너 실행시 네트워크를 지정해준다.(지정해주지 않으면 기본 bridge로 연결) docker run -itd --name website1 --network=custom-network nginx:alpine 3. 네트워크와 연결 된 컨테이너 확인 docker network inspect custom-network 4. 컨테이너간 통신 확인 [2.생성한 네트워크와 컨테이너 연결] 를 한번 더 진행하여 website2라는 컨테이너..

1. 네트워크 확인 - 기본적으로 생성 되어 있는 네트워크는 bridge, host, none이다 - 컨테이너 실행 시 네트워크를 지정해주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bridge에 연결된다. docker network ls 2. 각 네트워크와 연결 된 컨테이너 확인 - 나는 bridge와 연결 된 컨테이너를 확인 할 것이다. docker inspect network 네트워크 아이디 Containers를 보면 bridge 네트워크와 연결 된 컨테이너를 확인 할 수 있는데, bridge에 연결 된 컨테이너는 서로 통신 할 수 있다. 나는 현재 website와 website2를 가지고 있으며 ip주소가 각각 172.17.0.3, 172.17.0.4를 가지고 있다. 연결된 ip를 확인 했으면 컨테이너간에 진짜로 통신이..
- Total
- Today
- Yesterday
- Spring
- 자바스크립트
- Docker
- softeer java
- 전자정부프레임워크
- nginx
- gcp
- react
- 오토에버코테
- softeer
- mysql
- 스프링
- 코딩테스트
- tomcat
- Linux
- 리액트
- 도커
- java
- 톰캣
- Kubernetes
- centos
- 쿠버네티스
- 코테
- 자바
- 아파치카프카
- 현대오토에버
- javascript
- 현대코테
- 자바코테
- springboo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