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inikube는 쿠버네티스 학습과 개발을 용이하게 만든 로컬 쿠버네티스다. 설치 준비 minikube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리소스가 필요하다. - 2 CPUs 이상 - 2GB 의 메모리 - 20GB 이상의 디스크 공간 - 인터넷 - 컨테이너 혹은 virtual machine manager (Docker, Podman, VirtualBox 등등) 설치하기 - 설치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아래의 링크에서 내 PC 환경에 맞게 선택하면 설치 명령어를 제공해준다. https://minikube.sigs.k8s.io/docs/start/ minikube start minikube is local Kubernetes minikube.sigs.k8s.io 나는 macOs에 homebrew로 다운로드 ..

docker hub와 같은 public 저장소에 docker image를 저장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대부분 사설 저장소를 사용하겠지만...나는 로컬이미지를 사용하고 싶었다. 이럴 때는 로컬 이미지를 tar 파일로 변환하여 컨테이너를 실행 시킬 서버에서 tar 파일을 다시 image로 변경한다. docker image -> tar 변경- 예시에서는 test:0.1 이미지를 test-0.1.tar 파일로 저장한다.$ docker save -o [파일명] [이미지명]예) docker save -o C:\Users\injeong\Desktop\test-0.1.tar test:0.1tar -> docker image 변경$ docker load -i [파일명]예) docker load -i /home/ubun..

서버 준비 - 나는 가상서버로 준비했다 - CPU는 2 cores, memory는 2GB 이상으로 준비해야 한다 hostname ip roles k8s-master 192.168.0.40 control-plane k8s-node1 192.168.0.41 worker k8s-node2 192.168.0.42 worker CentOS 설정 1) selinux 비활성화 # setenforce 0 # sed -i 's/^SELINUX=enforcing$/SELINUX=disabled/' /etc/selinux/config 2) swap 비활성화 # swapoff -a # sed -i '/ swap / s/^\(.*\)$/#\1/g' /etc/fstab 3) 방화벽 비활성화 - 방화벽의 경우 필요한 포트만 오..

1️⃣ 도커 이미지 생성 1) jar 파일 생성 - 각자의 환경에 맞게 jar 파일을 build 해주면 된다. 나의 경우엔 gradle 프로젝트로 아래와 같이 build 하여 jar 파일을 생성했다. ( 프로젝트폴더/build/libs 폴더에 jar 파일 생성) gradle bootJar 2) Dockerfile 작성 - jar 파일 위치를 잡아주어야겠지만 그냥 / 하위에 옮겼다 FROM adoptopenjdk/openjdk11 #기본이미지 EXPOSE 9005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될 포트 ADD build/libs/test-0.0.1-SNAPSHOT.jar /test.jar #jar 파일 복사 ADD 호스트 위치 도커위치 적어준다. ENTRYPOINT ["java", "-jar", "/test.jar..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기본 원칙은 캡슐화(encapsulation), 상속(inheritance), 다형성(polymorphism)이며, 이들은 소프트웨어를 보다 모듈화하고 유지보수하기 쉽게 한다. 캡슐화(Encapsulation): 캡슐화는 관련된 데이터와 메서드를 하나의 단위로 묶는 것 클래스는 데이터(속성)와 해당 데이터를 다루는 메서드(함수)를 함께 캡슐화하여 객체를 형성 캡슐화는 정보 은닉(Information Hiding)을 통해 객체의 내부 구현을 외부로부터 숨기고, 외부에서는 객체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작용한다. 상속(Inheritance): 상속은 기존의 클래스에서 정의된 속성과 메서드를 새로운 클래스에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 상속을 통해 코드 중복을 줄이고, 기존 클래스의 기..

회사에서 공통으로 사용 할 수 있는 메소드들을 모듈화하여 라이브러리로 제공을 해달라는 업무를 받았다. 단순히 jar파일을 제공해서 각자의 프로젝트에 포함하라고 할 수 있지만 이왕 하는 김에 maven repository를 만들어 자동으로 필요한 라이브러리들을 다운 받을 수 있도록 제공하고 싶었다. maven 저장소를 구축 할 때 Nexus라는 툴을 많이 쓰는 것 같은데..나는 이런 도움없이 만들고 싶었다. 아주 간단하게 maven 저장소를 구축해보려고 한다. 0. 사전준비 - repository를 구축 할 서버에 아래의 내용들을 설치해주자 1) java 8 이상 2) maven 3) git 4) nginx 1. 라이브러리 만들기 1) maven 프로젝트 만들기 - maven은 기본적으로 src/main/..

운영중인 서비스에서 취약성점검을 진행했는데 HTTP/2.0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 tomcat과 nginx의 특정버전에서 취약성이 발생하여 버전 업데이트가 필요하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그래서 http/2.0 프로토콜 사용여부에 대해서 문의가 왔다. 예..? 솔직히 HTTP/1.1 과 HTTP/2.0 이 있다는 것만 들었지 이 프로토콜을 어떻게 골라서 사용하는것인지를 몰라서 당황스러웠다.🥹🥹 어떻게...확인 하는거지...?🤔 브라우저에서 확인 해야하는걸까? 서버에서 확인 해야하는걸까..? 정답은 둘 다! 이다. 웹 브라우저와 웹서버 혹은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WAS)에서 동시에 지원해야 HTTP/2.0 프로토콜을 사용 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HTTP/1.1을 사용하게 된다. 1. 웹 브라우저 -..
- Total
- Today
- Yesterday
- 전자정부프레임워크
- softeer java
- 자바코테
- Kubernetes
- tomcat
- 쿠버네티스
- Linux
- 리액트
- 코딩테스트
- softeer
- mysql
- 아파치카프카
- react
- springboot
- 현대오토에버
- java
- javascript
- 현대
- 오토에버코테
- 톰캣
- 자바
- 자바스크립트
- Spring
- 현대코테
- 코테
- Docker
- java 코테
- 도커
- 스프링
- cento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